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6:20
본문
Download :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hwp
‘’음이 완전 소멸은 18세기 끝으로 생각되는데 그러므로 그 사이 약 300년이 넘는 긴 시간이 걸렸다.
이 설명(說明)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니, 첫 부분은 「, ㅡ, ㅣ」의 소리 설명(說明)이오, 다음 부분은 「ㅗ, ㅏ ; ㅜ, ㅓ」와 「, ㅡ」와의 소리 비교이다. 여기서 []는 혀의 모양은 거의 /ㅗ/에 가까우나 다만 입술의 둥금은 /ㅗ/보다 덜한 소리로 바꾸어 말하면, 안둥근 /ㅗ/소리, 곧 [ʊ] 또는 [ʌ]에 가까운 소리였을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ㅗ」는 「ㅏ」와 같되 입이 오므라진다.
1. 서론
훈민정음 제자해에는 일곱 기본 홀소리에 대상으로하여 다음과 같은 설명(說明)이 있따
「」는 혀는 오그라지고 소리는 깊다. 제2 또는 제3음절에 있던 ‘’음이 먼저 소멸하고, 그 다음으로 제1음절의 ‘’가 소멸하여 완전히 ‘’음이 소멸된다된다. …「ㅡ」는 혀는 오그라지지 않고 소리는 얕다. 이제부터 자세하게 그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2. 본론
2.1 아래아의 소실
국어 모음 음소로서 시초부터 있었다고 보는 ‘’음이 중기어 중간시대부터 소멸하기 스타트한다. ‘’음의 소멸을 두 단계로 나누어 보면 제 1단계는 非第1音節의 소멸이다.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 []가 사라지고 다른 소리로 대체되기 스타트하면서 양모음은 양모음끼리만, 음모음은 음모음끼리만 연결되던 모음조화가 파괴되었다.
‘’음의 非第1音節에서의 동요는 중기어 초기문헌에 소수 나와도 표기상의 잘못이 있음을 인정하기에 문제로 하지 않지만, 「두시언해」초간본에는 ‘’음을 다른 음으로 기록한 많은 어례를 발견할 수 있따
즉 /나내/(客)가 대부분 /나그내/로 나타나고, /기마/가 /기르마/로 표기되었다. 이런 표기의…(drop)
Download :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hwp( 82 )
설명
국어음운론완성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에 대한 자료입니다. …「ㅓ」는「ㅡ」와 같되 입이 벌어진다. 국어음운론완성 ,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인문사회레포트 ,
점 소실과 모음 조화의 파괴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