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족의 진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8:32
본문
Download : 조선민족의 진로.hwp
조선은 과거 일제의 식민지였던 만큼 자본주의 독립국가들과는 달리 이중의 혁명의 대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연합성 민주주의’는 조선사회의 혁명적 세력의 歷史성에 의거한 좌우익의 가능성을 규정한 것이다. 그리하야 유산계급 독재의 자유민주주의를 거부하는 동시에 무산계급 독재의 프로 민주주의와도 구별되는 민족적 민주주의를 말할 것이며, 조선정치의 歷史적 순간성으로 보아서 계급적 민주주의보다는 과도형태로서 민족적인 연합성 민주주의만이 민주적 통일과 자주독립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민주정치와 민주경제 문제의 동시해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민족혁명’을 위하야는 원래부터 자산계급의 일부와 전 무산계급이 해내외를 막론하고 물질적으로 육체적으로 동맹관계를 가졌던 것이 엄연한 사실이어서무산계급은 민족해방을 위한 혁명세력인 동시에 사회해방을 위한 혁명세력의 담당자인 점을 사회적으로 인식해야만 하였다.






1. 조선정치의 획기적 방향
2. 조선경제 현단계의 재론
3. 연합성 신민주주의
4. 연합민권주의 歷史성
5. 민족주의의 정치이념
6. 공산주의 정치이념
7.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와의 공통적인 연합적 요소
8. 민주경제의 歷史적 필연성
9. 민주文化 건설과 임무
10. 민주도덕의 제창
<미소 공동위원회의 실패原因을 좌우분립 상황에서부터의 탐구>
3. 연합성 신민주주의
백남운은 조선인민에게 부과된 정치적 사명을 제1은 ‘민족해방’이요, 제2는 ‘사회해방’이라고 하였다.
조선민족에게 부과된 歷史적 사명인 민족해방과 사회해방에 대한 설명(explanation)과 형태와 이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합성 신민주의’를…(skip)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조선민족의 진로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조선민족의 진로.hwp( 79 )
[사회]한국현대사
[사회]한국현대사 , 조선민족의 진로경영경제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