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문과 상관문의 의미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3:13
본문
Download : 인과문과 상관문의 .hwp
인과성에 대한 오늘날
인과문과 상관문의 의미 관계
인과 접속사는 인과 관계의 언어적 표현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지는데, 이것은 타당한 일이다. Die begr denden Konjunktionen werden zu Recht oft unter dem Blickwinkel der sprachlichen Fassung von Kausalzusammenh ngen behandelt. (Eroms 1980: 77)
c. Peter kommt heute nicht, denn er ist krank.
필요넷 가격정책 적용





(1) a. Peter kommt heute nicht, weil er krank ist.
인과문,상관문,가능성,,
V. 인과문의 관련 층위 (Bezugsebene)
그리고 Helbig/Buscha에 따르면, 인과문은 상관문과 함께 原因과 결과 사이의 절대 필연적이고 규칙적인 관계 naturnotwendige, gesetzm ige Zusammenh nge von Ursache und Wirkung (1991: 689)를 나타낸다. 즉 인과문은 인과성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의 한 가지인 것이다. 또한 인과문과 상관문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의미론적인 접근이 갖는 한계에 대해서도 논하겠다. 한편 Eroms는 인과 접속사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런 생각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수용된다 Arndt에 따르면 모든 인과문의 바탕에는 사태들 사이의 완전히 객관적인 인과 관계 der rein objektive Kausalzusammenhang der Sachverhalte (1956: 5)가 깔려 있으며, 인과문은 인과 관계를 직접적이고 분명하게 파악하고 전달하기 위하여 um Kausalzusammenh nge direkt und unmi verst ndlich [...] zu erfassen und mitzuteilen (1959: 388) 사용한다.
VI. 가능성의 세계에 존재하는 인과 관계
III. 인과문과 인과성
논문/인문/어학계열
인과문 상관문 가능성 / (의사소통)
이 인과문이라는 문법 범주는 이미 그 명칭이 말해 주듯 인과문과 상관문의 의미 관계에 따라 定義(정이)된다 Heyse에 따르면 인과문은 주문장에 서술된 사실이나 행동의 原因이나 이유 die Ursache oder den Grund der in dem Hauptsatze ausgesagten Thatsache oder Handlung (1849: 660)를 나타낸다.
IV. 인과성이란 관념의 수정 방향
II. 철학에서의 인과성
인과문 상관문 가능성 / (의사소통)
레포트 > 기타
인과성이란 관념은 철학에서도 오랫동안 논란거리였다. 이처럼 인과문을 인과성과 관련시켜 이해하려는 입장은 19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이 문법 범주를 바라보는 주된 관점이다.
Download : 인과문과 상관문의 .hwp( 29 )
I. 들어가는 말
II. 철학에서의 인과성
현금 FM(필요머니) 무료
다. 그리고 이 관념이 규정되더라도 대부분 철학에서 사용하는 인과성이란 관념과 동일시되거나 혹은 거의 유사하게 定義(정이)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과문이란 문법 범주를 인과성이란 관념으로 설명(explanation)하려는 종래의 주장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인과문과 상관문의 의미 관계를 제대로 설명(explanation)하기 위해서는 인과성이란 관념이 언어학에서는 어떻게 규정되고 적용되어야 하는지도 살펴보겠다.인과문 상관문 가능성
b. Peter kommt heute nicht, da er krank ist.
순서
VII. 인과문의 의사소통적 측면
설명
VIII. 맺는 말 독어에서는 (1a)와 (1b)에서처럼 종속 접속사 weil과 da로 유도되는 부사절과 (1c)에서처럼 등위 접속사 denn으로 유도되는 문장을 일반적으로 인과문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인과문이 인과성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이고, 인과문과 상관문으로 기술되는 사태들은 인과적 관계에 있다고 할 때, 여기서 말하는 인과성이란 관념은 과연 무엇일까? 언어학에서는 이 관념이 대개 분명하게 규정되지 않은 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