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09:59본문
Download : 개념.hwp
⑤PRM(Partnering Relationship Management)
이전의 CRM, e-CRM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벤더, 파트너 등을 모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이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생산, 판매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Mirani, 2001)
(3)유통정보시스템의 必要性
①시장의 확대
→유통시장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유통산업은 대형화, 점포화 등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고 있따
→확대된 시장을 효율적으로 관…(생략(省略))
개념
개념
설명
개념 , 개념경영경제레포트 , 개념
Download : 개념.hwp( 83 )
레포트/경영경제
개념,경영경제,레포트






다.
순서
유통정보시스템의 定義(정의)
(1)유통정보시스템의 定義(정의)
→유통정보시스템(MKIS)은 기업의 유통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통합하는 기능을 통해 전사적 유통 또는 통합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유통계획, 관리, 거래처리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통 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정보
시스템이다.
(2)유통정보시스템의 기반기술
①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협업 기술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며, 공급 사슬상의 거래업체 간에 상호 합의된 전자문서표준을 이용하여 정보 공유와 전달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Bourland, 1996)
②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cess)
제조업체가 유통센터의 재고를 직접 보충한다는 定義(정의) 으로, 유통센터 출하데이터에 근거하여 상품을 보충하는 것을 의미한다(Clark, 2000)
③ECR(Efficient Customer Response)
...
유통정보시스템의 定義(정의)
(1)유통정보시스템의 定義(정의)
→유통정보시스템(MKIS)은 기업의 유통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통합하는 기능을 통해 전사적 유통 또는 통합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유통계획, 관리, 거래처리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통 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정보
시스템이다.
(2)유통정보시스템의 기반기술
①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협업 기술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며, 공급 사슬상의 거래업체 간에 상호 합의된 전자문서표준을 이용하여 정보 공유와 전달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Bourland, 1996)
②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cess)
제조업체가 유통센터의 재고를 직접 보충한다는 定義(정의) 으로, 유통센터 출하데이터에 근거하여 상품을 보충하는 것을 의미한다(Clark, 2000)
③ECR(Efficient Customer Response)
공급사슬에서 최대한의 이익을 위해서 데이터 공유, 기술, 비용 및 표준에 중점을 두고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협력으로 인하여 상호이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④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채널 파트너가 업무 프로세스와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시스템을 통합하며,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공급 사슬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